문화/예술/유산

시원하고 상쾌한 바다내음 속에서 여유와 힐링을 즐기는 보물섬 남해로 떠나보세요!

검색
검색 닫기
남해군여행검색

신나는 보물섬, 남해군여행을
도와줄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세요!

통합검색
인기검색어
여행맞춤정보 열기 닫기
여행맞춤정보 닫기
여행맞춤정보
누구와 함께 하세요?
언제 떠나세요?
무엇을 타세요?

남해유배문학이 국문학에 끼친영향

작성일
2016-02-01 16:54:14
조회수 :
564
용량 :
1.5 MB
여기 초점을 받으면 키보드 화살표 상(↑)·하(↓) 키로 대본 스크롤을 할 수 있습니다. 남해유배문학이 국문학에 끼친영향
가난하고 외로운 유배객의 삶. 고달픈 유배지에서의 생활 속에서도 선비들은 저마다의 생각과 마음을 담아 수많은 글과 그림을 남겼다.

정도전 『삼봉집』 중 「소재동기」 …세상의 버림을 받아 귀양살이로 멀리 와 있는데도 동리 사람들이 나를 대접하기를 이렇게 두텁게 하니 어쩌면 그 궁한 것을 불쌍히 여겨서 거두어 주는 것일까. 정도전 영정 (평택시 삼봉기념관) 『삼봉집』 (평택시 삼봉기념관)

충암 김정의 「임절사」 이 어둡고 긴 밤은 언제쯤 아침 되려나 빛나던 붉은 충심은 덤불 속에 묻히고 당당하던 장한 뜻 중도에 꺾이었네 아아, 천추 만세 뒤에까지 응당 날 슬퍼하리 자암 김구 「유배길을 잃고 지은 시」

길을 잃어 사방 분간 어려운데 밤은 이미 깊어 흙탕길 무릅쓰고 걸어 홀로 되었구나 산을 가로지르니 마음 진실로 감당키 어렵고 솔문 깊이 드니 탄식소리도 안 들리네 『자암집』 (국립중앙도서관)

노수신 「벽파정 시에 답하여」 두 공은 천상에 있으나 외로운 나그네는 바다 가운데 떠 있네 다행스럽게 오늘 아침까지 목숨을 이었으나 앞날은 오히려 멀기만 하네 『소재집』 (상주 옥연사)

고산 윤선도 「어부사시사」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는 자연 속에서 편안히 분수를 지키며 만족하고 살아가는 어부의 즐거움을 표현한 40수의 연시조로, 우리말을 세련되고 아름답게 구사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고산유고』 (서울대 규장각)

우암 송시열 「탐라주중(耽羅舟中)」 쫓기는 신세 외로운 배로 떠나니 큰 물결 만리에 깊어라 평생토록 충의 세웠으니 우제묘 찾을 필요 없구려 『송자대전』 (국립중앙도서관)

약천 남구만 「등망운산(登望雲山)」 마음은 구름을 타고 고향 하늘을 맴도니 금성의 일타홍이 그립구나 끝없는 바다에는 섬 그림자 아롱진대 이 몸 언제나 그리운 고장으로 돌아가게 되려나 『약천집』 (국립중앙도서관)

서포 김만중 『서포집(西浦集)』 숙종 28년(1702)에 간행된 문집으로, 김만중의 문학관 및 정치관, 사상이 담겨 있다. 『서포집』 (국립중앙도서관)

오늘 아침 어머니 그립다는 말을 쓰자 하니 글자 되기 전에 이미 눈물이 앞을 가리네 「사친시(思親詩)」는 유배지인 남해에서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쓴 시다.

북풍이 쏴아 하고 대숲에 불어 오늘 아침 두 조카 생각나게 하네 내 남쪽으로 쫓겨오며부터 너희 마음 괴롭더니 어찌 알았으랴 너희마저 해천의 남쪽인 것을 서포 김만중이 노도에서 쓴 시다.

병든 아내가 헤진 치마를 보내왔네 천 리 먼 길 애틋한 정을 담았네 흘러간 세월에 붉은 빛 다 바래서 만년에 서글픔을 가눌 수 없구나 정약용 초상 (강진다산전시관)

가볍게 펄펄 새가 날아와 우리 뜰 매화나무 가지에 앉아 쉬네 매화 꽃 향내 짙게 풍기자 꽃향기 사모하여 날아왔네 이제부터 여기에 머물러 지내며 가정 이루고 즐겁게 살거라 꽃도 이미 활짝 피었으니 열매도 주렁주렁 많으리 매조도 (고려대 박물관)

김려 「우해이어보」 「우해이어보」 는 김려가 진해 유배시절에 어민들과 근해에 나가 바닷고기를 관찰하여 그 이름, 형태, 습성, 효용 등을 기록한 책이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와 함께 우리나라 어류 연구서의 선구로 평가 받고 있다. 『담정유고』 (서울대 규장각)

추사 김정희 「세한도(歲寒圖)」 소나무와 잣나무는 지조와 의리를 상징 김정희 초상 (예산군청)

태사공이 이르기를 ‘권력으로 합한 자는 권력이 떨어지면 교분이 성글어 진다’고 하였는데, 군(君)도 역시 이 세상 사람으로 초연히 권력에 추세하는 테두리 밖을 떠나서 권력으로 나를 대하지 않는다는 말인가. 태사공의 말이 잘못된 것인가.

추사 김정희 「영영백운도(英英白雲圖)」 제주유배 시절 살던 집을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으로 남종화풍의 산수화이다.

우봉 조희룡 「방운림산수도」 임자도에 유배된 우봉이 임자도의 풍광을 화폭에 담은 그림 「황산냉운도」. 「방운림산수도」. 「괴석도」 중 「방운림산수도」이다. 방운림산수도 (서울대 박물관 소장)
담당부서 :
문화체육과 문화예술팀( 055-860-8621)
최종수정일 :
2020.09.17 14:03:59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